티스토리 뷰
효과적인 수업 설계를 고민하는 교육자라면 반드시 한 번쯤은 '백워드 설계모형'에 대해 들어봤을 것입니다. 위긴스와 맥타이가 제안한 백워드 설계모형의 개념부터 구체적인 적용 방식, 그리고 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제시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모형이 가지는 교육적 의미와 실질적 장점을 다양한 각도에서 탐색하며, 수업 설계에 있어 사고의 전환을 가져올수 있을것으로 보입니다.

1. 백워드 설계모형이란? - 수업의 본질로 돌아가는 사고의 전환
교육 현장에서 흔히 발생하는 오류 중 하나는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입니다. 전통적인 수업 설계 방식은 교사가 가르칠 내용을 먼저 정하고, 그 다음 평가 방식을 고려하며, 마지막으로 활동 계획을 수립하는 순서로 이루어집니다. 하지만 위긴스(Wiggins)와 맥타이(McTighe)는 이러한 방식이 학습자의 깊은 이해를 이끌어내기 어렵다고 지적했습니다. 이들이 제안한 백워드 설계모형(Backward Design Model)은 기존 방식과는 정반대로, ‘무엇을 배우게 할 것인가’에서 시작합니다. 즉, 학습자가 도달해야 할 성취 기준과 이해 목표를 먼저 설정하고, 그에 맞는 평가 기준과 학습 경험을 설계하는 방식입니다. 이 모형은 세 단계로 나뉘며, 각 단계는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첫 번째 단계는 “바라는 결과 확인(Identify Desired Results)”입니다. 여기에서는 교육과정의 목표를 명확히 설정하고, 학습자가 무엇을 이해해야 하며 어떤 역량을 가져야 하는지를 규명합니다. 두 번째 단계는 “수용 가능한 증거 결정(Determine Acceptable Evidence)”입니다. 이는 설정된 목표가 실제로 달성되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평가 계획을 세우는 과정으로, 단순한 퀴즈나 시험보다는 수행평가, 프로젝트, 포트폴리오 등 다양한 형태의 평가 방법이 강조됩니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단계는 “학습 경험과 수업 계획 설계(Plan Learning Experiences and Instruction)”입니다. 이는 앞서 설정한 결과와 증거를 바탕으로, 학습자가 목표에 도달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활동과 전략을 구상하는 과정입니다. 이처럼 백워드 설계모형은 수업 설계의 전통적인 패러다임을 뒤집음으로써, 학습 중심의 교육을 실현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교육자는 수업의 목표를 단순히 지식 전달에 두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어떻게 사고하고 이해하며 적용할 수 있는지를 중심으로 사고해야 합니다. 결국 백워드 설계는 '교육의 본질은 학습자의 이해'라는 원칙을 실현하기 위한 가장 체계적인 방법론 중 하나입니다.
2. 실제 수업에의 적용 사례 - 현장에서의 백워드 설계 실천
이론이 아무리 훌륭하더라도, 그것이 실제 수업에서 적용되지 못한다면 교육적 효과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습니다. 백워드 설계모형은 그 구조 자체가 현장 친화적으로 설계되어 있어 실제 수업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녹여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중학교 사회 과목에서 ‘민주주의의 개념과 실천’을 주제로 수업을 계획한다고 가정해 봅시다. 전통적인 방식이라면 교과서에 나온 내용을 중심으로 강의식 수업을 진행한 후, 단답형 시험으로 학생들의 이해도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반면 백워드 설계를 적용하면, 먼저 ‘학생들이 민주주의의 가치와 제도를 어떻게 이해하고, 자신의 삶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가’를 수업의 최종 목표로 설정합니다. 이후 평가 방법은 단순히 개념을 외우는 수준을 넘어, 학생들이 실제 사회 문제에 대해 민주적 절차를 적용하여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프로젝트로 계획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수업은 다양한 시청각 자료 활용, 역할극, 토의 활동 등을 통해 학습자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방향으로 구성됩니다. 이러한 수업은 학생들이 학습 내용을 단순히 기억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사고하고 해석하며 적용하는 과정을 경험하게 합니다. 이러한 점이 바로 백워드 설계가 주는 가장 큰 강점 중 하나입니다. 또한 교사 입장에서도 수업의 방향성이 뚜렷해지기 때문에, 준비 과정이 체계적이며 목표 달성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백워드 설계는 ‘결과에서 시작하는 사고’를 기반으로 하여, 수업의 시작부터 끝까지 명확한 흐름을 유지하게 해줍니다. 이 흐름은 수업이 단편적인 활동들의 나열이 아닌, 하나의 통합된 학습 여정으로 이어지게 만듭니다.
3. 교육 철학의 변화와 백워드 설계모형의 의미
백워드 설계모형이 단지 수업 기획 방법론에 국한된 것이 아님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모형은 교육의 근본적인 철학, 즉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에서 ‘왜 가르치는가’로의 전환을 요구합니다. 이는 곧 교육의 목적을 지식의 주입이 아닌 이해의 증진으로 재정립하는 과정이며, 교육자 자신이 교과 내용의 전달자가 아닌 학습의 설계자이자 촉진자라는 인식을 갖게 합니다. 위긴스와 맥타이는 이 모델을 통해 교육자들이 보다 깊이 있는 질문을 던질 수 있도록 이끌었습니다. ‘학생들은 무엇을 통해 진정으로 이해했는가?’, ‘이해는 어떻게 평가될 수 있는가?’와 같은 질문은 백워드 설계모형의 철학을 잘 대변합니다. 또한, 이 모형은 학습자 중심 교육이라는 현대 교육의 흐름과도 맞닿아 있습니다. 다양한 학생들의 수준과 배경을 고려하고, 그들이 능동적으로 학습에 참여할 수 있도록 구성된 수업은 진정한 의미에서의 교육 평등을 실현하는 길이기도 합니다. 학생 개개인의 학습 경험이 그 자체로 의미를 갖도록 하는 것은 단지 지식의 전달 그 이상을 의미합니다. 이는 곧 교육의 질을 높이는 가장 확실한 방법 중 하나이며, 교육의 본질적 목적에 다가가는 길이기도 합니다. 마지막으로, 백워드 설계는 교사들에게도 깊은 성찰의 기회를 제공합니다. 무엇이 효과적인 수업인지, 어떤 평가가 진정한 학습의 증거가 되는지에 대해 지속적으로 고민하게 만들며, 교육자로서의 철학을 세우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단지 가르치기 위한 수업이 아닌, 배움을 설계하는 수업으로의 전환은 모든 교육자에게 필요한 사고의 변화이며, 백워드 설계모형은 그 출발점이 되어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