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빛과 실, 그리고 작가의 속삭임

     

    빛은 사라지는 순간에도 흔적을 남기고, 실은 그 흔적을 엮어 우리 삶의 조각들을 잇는다. 2024년 노벨문학상 수상 이후 처음 발표한 한강 작가의 에세이집 『빛과 실』은 이처럼 섬세하고 조용한 방식으로 세상과 다시 대화를 시작한다. 총 12편의 시, 산문, 일기, 강연문을 담은 이 책은 고요하지만 울림이 깊다. 사랑과 희망, 자연의 조화 속에서 한강은 자신만의 언어로 ‘살아간다는 것’의 의미를 되묻는다. 그 문장들은 차갑고 투명한 물처럼, 독자의 마음을 서서히 적셔온다.

     

     

    빛과 실

     

     

     

    1. 한강의 문학 여정, 『빛과 실』에서 다시 빛나다

     

     

    한강 작가의 글은 언제나 고요하지만 강하다. 『채식주의자』와 『소년이 온다』로 국제적인 인정을 받은 후, 그녀는 『작별하지 않는다』를 통해 인간의 고통과 사랑, 역사적 비극을 정면으로 응시했다. 그리고 이번 『빛과 실』에서는 소설이 아닌 에세이라는 형태로 돌아와, 훨씬 더 내밀하고 사적인 세계를 우리에게 보여준다.

     

    이 책은 세 장으로 나뉜다. 첫 번째 장은 노벨문학상 수상 강연문으로 시작한다. 이 강연문은 단순한 수상 소감이 아니라 마치 하나의 짧은 소설처럼 서사적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어린 시절의 기억과 현재의 자아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보여준다. “사랑이란 어디에 있는가?”라는 여덟 살 시절의 자문에서 시작된 그녀의 질문은 지금도 여전히 유효하다. 이 질문은 한강의 전 작품을 관통하는 중심축이며, 그 물음에 대한 탐색은 『빛과 실』에서도 끊이지 않는다.

     

    두 번째와 세 번째 장은 시와 산문, 일기 형식의 글들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북향 정원에서 햇빛을 반사시키기 위해 거울을 사용하는 장면은 단순한 정원 가꾸기를 넘어서, 어둠 속에서 스스로 빛을 찾아내는 인간 존재의 은유로 읽힌다. 그 과정을 통해 ‘생명은 빛을 향해 자란다’는 생물학적 진리를 작가는 감정과 통찰로 확장시킨다. 그녀의 문장은 때로는 시적이고, 때로는 날 것 그대로의 일기 같지만, 결국 하나의 일관된 세계관으로 이어진다.

     

     

     

    2. 사랑과 고통, 언어로 직조된 삶의 실타래

     

    『빛과 실』은 말 그대로 빛과 실로 엮인 이야기다. 빛은 작가에게 생명과 희망의 상징이고, 실은 고통과 기억, 감정의 연속성을 의미한다. 그녀의 글에는 유난히 ‘생명’과 ‘죽음’이라는 이중성이 짙게 배어 있다. 『작별하지 않는다』에서 제주 4.3 사건의 생존자 이야기를 썼던 것처럼, 이번 책에서도 그녀는 “죽은 자들이 산 자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가?”라는 질문을 계속 붙든다.

     

    그녀의 시 <소리들의 이성부>는 죽은 자들의 울림이 산 자의 삶에 여전히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암시하며, 언어의 힘이 단순한 전달 수단을 넘어 생명과도 같은 존재라는 점을 역설한다. 이 시와 산문 사이를 오가는 구조는 독자에게 연속적이고 파동적인 감정을 전달하며, ‘소설은 삶을 담는 그릇’이라는 작가의 철학을 다시금 확인시킨다.

     

    에세이 중에서 작가가 자신의 집 정원에 햇빛을 들이기 위해 매일 아침마다 거울의 각도를 조절하는 장면은 인상 깊다. 햇빛이 드는 각도가 조금만 달라져도 식물의 반응이 달라지듯, 인간도 빛과 감정의 미세한 변화를 섬세하게 느끼며 살아간다. 이것이 바로 한강 작가가 독자에게 전달하고 싶은 삶의 결이다. 사랑의 부재 속에서도 고통과 존재의 의미를 찾아내려는 작가의 끈질긴 시도는, 에세이 곳곳에서 독자에게 울림을 준다.

     

     

     

    3. 정원에서의 사유, 문학으로 확장되는 자연의 언어

     

    『빛과 실』의 후반부는 정원을 돌보는 일상과 자연과의 교감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한강은 북향 정원에서 식물을 키우면서 생명의 순환을 직접 체감한다. 그 과정은 단순히 식물을 돌보는 행위를 넘어, 언어 이전의 감각과 인간의 본성을 깨닫는 여정으로 변모한다. 거울로 햇빛을 반사시키는 일은 작가에게 있어 하나의 의식이고, 빛을 기다리는 과정은 작가 자신이 삶을 대하는 태도와 겹쳐진다.

     

    그녀는 햇빛이 식물에게 다가가는 각도와 강도를 섬세하게 관찰하며, ‘존재만으로 충분한 관계’에 대해 묻는다. 인간과 식물 사이의 감정 교류가 반드시 언어를 통해 이루어지지 않아도, 서로를 이해할 수 있다는 가능성은 작가의 글에 자연스럽게 스며든다. 해충이 나타나 생명을 해할 때의 슬픔, 거미가 사라지는 풍경에서 느껴지는 쓸쓸함도 모두 그녀가 말하고자 하는 ‘공존’의 개념을 강화한다.

     

    작가는 식물에 대해 “잘 자라기만 하면 된다”고 말하면서도, 그 말 속에는 온갖 정성과 감정이 배어 있다. 식물에게 직접 말을 걸지 않아도, 햇빛과 물, 돌봄으로 이어지는 교감은 독자에게 삶을 대하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이러한 자연에 대한 섬세한 감성은 곧 한강 작가의 문학 세계를 떠받치는 중요한 기둥이 된다.

     

     

     

    고요한 울림, 그리고 새롭게 다가온 빛

     

    『빛과 실』은 단지 에세이집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그것은 한강이라는 작가가 살아온 길, 고민해온 질문, 그리고 앞으로 향해 나아갈 문학적 여정을 집약한 작품이기 때문이다. 고통을 직면하고 사랑을 탐색하며, 언어로 세계를 꿰어가려는 한 작가의 집념이 이 책에 고스란히 담겨 있다.

     

    한강 작가는 이 책에서 독자에게 ‘살아 있는 존재’로서 글을 쓰는 인간이 지닌 사명감을 보여준다. 그것은 단지 글을 쓰는 것이 아니라, 쓰임과 존재의 이유를 묻고 그 답을 찾아 나서는 여정이다. 『빛과 실』을 읽으며 우리는 다시금 묻는다. “사랑은 어디 있는가?” 그리고 그 답은, 책장을 덮고 난 후에도 여운으로 오래 남는다.

     

     

     

     

     

    반응형